--한국 수출규모 회복세, 화학물질 관련 인증 사전에 준비해야--
상품명 및 HSCODE
HS Code 293190은 화학적으로 정의된 유기-무기 화합물(유기 황 화합물, 수은 화합물, 테트라메틸납, 테트라에틸납 및 트리뷰틸주석 화합물 제외)을 포함하며, 이는 농약 생산에 사용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이를 농약 생산에 사용되는 원료로서 작성했다.
시장동향 및 규모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농약 및 기타 농화학 제품 시장은 2023년에서 2028년까지 연평균 5.4%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산가치 기준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다섯 번째로 큰 시장이며, 절대적인 성장 규모 면에서는 세 번째로 큰 시장이다. 농약 및 기타 농화학 제품에 대한 수요는 B2B가 78.2%로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농약 및 농화학 제품시장은 외국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2023년도 기준 전체 시장 규모의 약 53%가 수입으로 구성됐다. 다만, 2018년도에 수입의 비중이 약 65%였던 것을 감안하면 수입 규모 또한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인도네시아 살충제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연도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시장규모 |
1,203.4 |
1,423.1 |
1,542.5 |
1,588.3 |
1,597.3 |
[단위: 유로모니터(Euromonitor)]
인도네시아는 살충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시장이다. 살충제 관련 제품의 경우, 완제품은 인도네시아 농업부(Ministry of Agriculture)에 등록이 필요한데, 2017년에서 2021년 사이에 등록 건은 약 24% 증가했다. 농약의 문제점은 부적절한 사용과 제품에 대한 이해부족이 있다. 가자마자 대학교 공중보건 및 간호학부에서 작성한 논문에 따르면, 실제로 농민의 약 22%만이 농약제품에 기재된 라벨을 완전히 이해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살포간격 등에 따른 위험성 또한 노출돼 있다.
인도네시아는 살충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농민들을 대상으로 한 Farmer Field School(FFS)를 통해 농업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FFS는 1980년대부터 정부에 의해 통합 병해충 관리(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를 확산시키기 위해 도입된 농업 교육방식이다. 한편 최근에는 오가닉 제품 생산이나 엄격한 화학 규제요건을 맞추기 위한 생물농약(Biopesticide) 시장도 점차 성장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새로운 병충해로 인한 살충제 수요도 발생하고 있다.
수입동향 및 국가별 수입규모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자료에 따르면, HS Code 293190에 해당하는 제품의 수입은 팬데믹 이후의 현지 경제상황과 글로벌 원자재 가격변동 등에 영향을 받아 최근 큰 변동을 보여왔다. 2021년에는 약 1억5680만달러의 수입량이 2022년 약 1억60만 달러, 2023년에는 4980만 달러까지 감소했다. 그러나 2024년에는 7260만 달러를 기록해 다시 회복세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4년의 수입규모는 2021~2022년도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네시아의 식량안보와 농업 현대화 정책을 고려하면, 해당 분야에서 지속적인 수요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야자유나 쌀과 같은 고부가가치 작물 보호를 위한 유기인계 살충제(organophosphorus), 유기규소(organosilicon) 화합물 등에 대한 수요도 발생할 수 있다.
전 세계 수입규모를 보았을 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는 중국으로, 2024년 기준으로 전체 수입량의 약 75.7%를 차지한다. 중국으로의 수입추이가 전체 시장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으며, 이는 주요 산업용 화학물질의 수입에 있어서 중국의 공급에 따라 가격에도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다음으로는 대만에서 11.3%를 수입하고 있으며, 뒤이어 독일(2.96%), 인도(1.73%), 미국(1.72%), 일본(1.69%), 한국(1.67%) 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수입되고 있다. 대만 제품의 수입은 2021년 140만 달러에서 2024년 820만 달러로 꾸준히 큰 폭으로 성장해 오고 있는 한편, 미국산 제품은 2021년 1860만 달러에서 2024년 120만 달러로 크게 감소했다. 한국산 제품은 전체 수입량 변동 폭에도 불구하고, 지난 수년간 꾸준히 100만~120만 달러 규모로 비슷하게 유지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농약원료(HS Code 293190) 수입현황>
(단위: US$ 천, %)
연도 |
수입액 (US$ 천) |
증감률 |
2020 |
113,851 |
+2.61% |
2021 |
156,815 |
+38.04% |
2022 |
100,579 |
-35.86% |
2023 |
49,766 |
-50.52% |
2024 |
72,585 |
+45.85% |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농약원료(HS Code 293190) 수입규모>
(단위: US$ 천, %)
순위 |
국가명/지역 |
수입액(US$ 천) |
점유율(%) |
증감률 |
|||
2021 |
2022 |
2023 |
2024 |
2024 |
23/24 |
||
|
전 세계 |
156,815 |
100,579 |
49,766 |
72,585 |
100.00 |
45.85 |
1 |
중국 |
104,956 |
74,293 |
33,256 |
54,952 |
75.71 |
65.24 |
2 |
대만 |
1,357 |
3,155 |
6,236 |
8,227 |
11.33 |
31.93 |
3 |
독일 |
3,970 |
2,645 |
3,070 |
2,147 |
2.96 |
-30.07 |
4 |
인도 |
1,242 |
1,622 |
811 |
1,255 |
1.73 |
54.77 |
5 |
미국 |
18,564 |
5,170 |
1,478 |
1,246 |
1.72 |
-15.69 |
6 |
일본 |
1,357 |
1,322 |
982 |
1,228 |
1.69 |
24.96 |
7 |
한국 |
1,220 |
1,060 |
980 |
1,208 |
1.67 |
23.23 |
8 |
이탈리아 |
634 |
1,117 |
437 |
865 |
1.19 |
98.01 |
9 |
네덜란드 |
1,843 |
743 |
1,877 |
643 |
0.89 |
-65.72 |
10 |
싱가포르 |
167 |
105 |
120 |
323 |
0.45 |
168.53 |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유통구조
HS Code 293190에 해당하는 화학물질의 유통은, 살충제 생산을 위한 중간원료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완제품 형태의 살충제 유통과는 구별된다. 이러한 화학물질의 주요 수요처는 살충제 제형 작업을 수행하는 업체들이다. 해당 제품은 국가 또는 지역단위의 총판을 통하게 되며, 살충제 제조사들에 유통되거나, 경우에 따라 하위 유통업체를 거쳐 소규모의 살충제 취급 업체들을 통해 최종적으로 농민들에게 판매된다. 해당 HS Code는 그 성질상 안전성 및 저장 조건에 대한 규제 요건이 수반될 수 있으므로, 물류, 창고보관, 취급 절차의 적정성이 전체 유통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농약원료(HS Code 293190) 유통구조>
[자료: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Bayar, BASF, Syngenta, Corteva, FMC와 같은 글로벌 농화학 기업들은 인도네시아 내에 자체 제조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공장에서 필요한 원료를 수입하거나 현지에서 조달하고 있다.
<농약원료(HS Code 293190) 유통사 리스트>
기업명 |
로고 |
제품군 |
소개 |
PT Petrokimia Gresik |
|
살충제, 제초제, 살균제 |
비료생산업체로 잘 알려져 있지만, 살충제 시장에서도 큰 규모를 차지하며 살충제 제조공장을 보유하고 있음 |
PT Rolimex Kimia Nusamas |
|
살충제, 제초제, 살균제, 생물농약 |
글로벌 제조사로부터 수입한 농약제품의 총판역할을 하며, 제형 및 유효성분 수요 보유 |
PT Yanno Agro Science Indonesia |
|
살충제, 제초제, 살균제, |
농작물 보호용 화학제품 개발, 제조, 마케팅 등을 전문으로 함 |
PT Asiana Chemicalindo Lestari |
|
살충제, 제초제, 살균제, 식물생장조절제 등 |
2002년부터 살충제 제형 및 제조를 수행하고 있음 |
[자료: 각 사 홈페이지,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경쟁동향
회사명 |
로고 |
웹사이트 |
소개 |
PT Dharma Guna Wibawa (DGW Group) |
|
https://dharmagunawibawa.co.id/ |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농화학 기업으로, 농약, 비료, 종자 및 유효성분(Active Ingredients)을 생산함 |
PT Bayer CropScience Indonesia |
|
Bayer.com |
Bayar AG의 농업, 바이오케미칼 부분을 담당하며, R&D를 포함한 농화학 분야와 제초, 살충, 종자제품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
BASF Indonesia |
|
https://www.basf.com/id/id |
독일에 본사가 있는 BASF의 인도네시아 법인으로, 살충제, 제초제, 살균제 등 농화학제품을 생산, 판매하며, 농민 대상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함. |
Syngenta Indonesia |
|
https://www.syngenta.com/ |
노바티스와 아스트라제네카의 농화학 사업부 합병을 통해 생긴 기업으로, 인도네시아에는 1960년대에 진출함. 농작물 보호제 및 종자 핵심 사업을 전개 중 |
[자료: 각 사 홈페이지,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관세율 및 인증
인도네시아에서 HS Code 293190에 해당하는 화학물질과 이를 포함한 제품의 유통은 주로 인도네시아 무역부 규정에 의해 관리된다. 이 규정에 따르면 외국 기업이 인도네시아 내에서 자사 제품을 유통하려면 일반적으로 현지 대리점 또는 유통업체를 지정해야 한다.
한편 인도네시아의 모든 살충제는 농업부의 허가 및 등록이 필요하며, 이는 2019년 제43호 규정에 따라 관리된다. 허가에는 시험허가와 영구허가가 있으며, 시험허가는 연구목적을 위한 것으로 1년, 영구허가는 상업적 생산 및 유통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5년간 유효하다.
한편 인도네시아는 법률 제33호/2014에 따라, 화학제품 및 농약을 포함한 모든 제품에 대해 할랄 인증을 의무화하고 있다. 일반적인 농약 및 유효성분은 인증 대상에 해당하나, 가공되지 않은 천연물질이거나 할랄 포지티브 리스트(Halal Positive List)에 등재된 오염 가능성이 없는 화학물질은 예외적으로 면제될 수 있다. 해외 인증기관에서 인증을 진행할 경우, 상호인정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고 등록절차를 진행해야 한다.
<제품별 관세율>
(단위: %)
HS Code |
제품명 |
관세율 |
VAT |
||
MFN |
AKFTA |
IKCEPA |
|||
29319041 |
Other organo-inorganic compounds in liquid form |
5% |
0% |
0% |
12% |
29319049 |
Organoarsenic compounds, Other |
5% |
0% |
0% |
12% |
29319050 |
Dimethyltin dichloride |
0% |
0% |
0% |
12% |
29319090 |
Other organo-inorganic compounds not specified elsewhere |
5% |
0% |
0% |
12% |
[자료 : 인도네시아 재무부]
시사점
인도네시아 내 농업은 주요 산업 중 하나로, 정부에서는 식량안보 강화와 농지 확대 등을 정책 핵심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은 병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원료 및 관련 화학제품에 대한 수요를 견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인도네시아 농약 관련 시장의 경우 중국을 비롯한 외국계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인도네시아의 상당수의 농가는 제품 가격 민감도가 크며, 가격적으로 저렴한 제품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농업부에 의해서 관리되고 있는 살충제 등을 포괄하는 규제 프로세스는 다소 긴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사전에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는 시장 진입에 있어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기존에 요건을 만족한 업체들에는 이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점차 지속가능한 농업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며, 장기적으로 유기농업, 바이오 농약, 환경친화적 병해충 방제 솔루션 등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장기적으로 기존 화학제품에 대한 수요동향을 재편할 수 있으므로, 관련 우리 기업들은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
공지 | 중국물류관련 | bairan | 2025.06.21 |
12 | . | bairan | 2025.08.06 |
11 | . | bairan | 2025.08.05 |
10 | . | bairan | 2025.08.05 |
9 | . | bairan | 2025.08.02 |
8 | . | bairan | 2025.07.31 |
7 | . | bairan | 2025.07.30 |
6 | . | bairan | 2025.07.29 |
5 | 인도네시아 농약원료 시장동향 | bairan | 2025.07.28 |
4 | 2021 인도네시아 인프라스트럭처 위크 전시회(Indonesia Infrastructure Week) | bairan | 2025.07.27 |
» | 인도네시아 농약원료 시장동향 | bairan | 2025.07.26 |
2 | 인도네시아 커피 추출기 시장 현황과 시사점 | bairan | 2025.07.25 |
1 | 인도네시아산 죽염최상급제품 | bairan | 2025.06.21 |